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WHO 고병원성 조류 독감 인체 감염 사망 사례 확인

반응형

고병원성 조류독감 H5 N2의 인체 감염 첫 사례를 세계보건기구 WHO가 2024년 6월 발표했다. 고병원성 조류독감 변종 바이러스는 H5 N1, H5 N2, H7 N9, H5 N6 등이고 H5 N1의 치사율은 52%다. 1918년 전 세계적으로 치사율이 높았던 스페인독감의 정체가 조류독감이었다. 

 

고병원성 조류독감 인체감염

2024년 6월 6일 세계보건기구가 고병원성 조류독감의 변종인 H5 N2의 인체 감염 첫 사례를 확인했다. 멕시코에서 59세 남성이 H5 N2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사망했다. 멕시코의 닭 사육장에서 해당 바이러스가 발견되었다. 

 

https://higoodday.com/news/997655

 

 조류독감은 급성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병으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닭, 오리, 칠면조 등 가금류에 발생한다. 조류독감은 철새를 통해 여러 국가로 확산되기 쉽고 분변이나 공기 중 부유물 등으로도 전파될 수 있다.

 

양계장

 

 조류독감이 인체에도 감염된다. 조류독감은 인체에는 전파되지 않는다고 했는데 결국 발생하고 있다. 여러 가지 조류독감 중 H5 N1의 치사율은 52%고 동남아에서는 치사율이 80%나 된다. 조류독감에 걸렸는데 치료시기를 놓치면 사망에 이른다. 


 2024년 4월 베트남에서 신종 조류독감 H9 N2의 인체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2024년 5월 미국 텍사스 목장에서 젖소들 사이에 를 통한 고병원성 조류독감 H5 N1이 발생했고 목장 근무자가 감염됐다. 이는 H5 N1의 세 번째 인체 감염 사례다. H5 N1은 고양이도 감염시켰다. 

 

 2024년 5월 호주에서도 어린이가 고병원성 조류독감 H5 N1에 걸려서 인근 양계장의 닭 수십만 마리를 살처분했다. 이보다 앞서 2021년 중국에서 H10 N3형 조류독감 인체 감염 사례가 세계 최초로 보고됐다. 2021년 인도에서도 인간 감염이 확인되었다. 

 

 조류독감은 병원성에 따라 고병원성과 저병원성으로 분류된다. 병원성은 주로 HA 유전자와 관련이 있고 HA단백질 분절 부위에 특정한 병원성 관련 유전자 배열을 나타내면 고병원성으로 분류한다.

 

 조류독감의 변종이 많고 발견될 때마다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해서 이름을 붙이고 분류한다.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진화하고 변종을 일으키고 있다. 

 

 고병원성은 조류 내 전파력 및 폐사율이 높아 주요 가축 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고병원성 조류독감은 인체 내로 전염되어 치료시기를 놓치면 사망에 이를 수 도 있다. 

 

 조류독감이 발생하면 방역대책으로 위험지역 내 모든 가금을 살처분하고 닭고기 계란 등 생산물을 폐기하고 매몰하며 농장을 세척하고 소독을 한다. 

 

조류독감 증세와 치료

WHO에 의하면 조류독감 백신을 만드는 기반시설은 있으나 백신은 아직 만들지 않은 상태다. 조류독감 인체 감염증은 타미플루나 리렌자와 같은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해 치료할 수 있다.

 

 조류독감의 잠복기는 1 ~2일이다. 증상은 오한, 열, 눈물, 콧물, 기침, 재채기, 근육통, 목 통증으로 독감 증세와 비슷하다. 김염자 중 일부에서는 폐렴과 결막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고병원성 조류독감에 감염되면 젊고 건강한 경우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발생한다. 사이토카인 폭풍은 면역물질 사이토카인이 과다 분비되면서 정상 세포까지 공격한다. 정상세포의 DNA까지 변형되어 체내에 대규모 염증반응과 다발성 자기 손상으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2009년 신종플루(= 돼지독감)가 한국에 유행할 때 학교문까지 닫았다. 병없이 건강했는데도 신종플루에 걸려 사이토캉인 폭풍으로 사망자까지 발생했다. 

 

조류독감 예방법

조류독감이 유행하는 지역을 방문하지 금지하고 철새, 닭, 오리 등 가금류와 계란 접촉을 피해야 한다. 저온 살균되지 않은 우유도 피하는 것이 좋다. 증세가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시기를 놓치면 사망에 이른다. 

 

 1918년부터 2년간 맹위를 떨치며 치사율이 높았던 전염병 스페인독감의 정체가 조류독감이었다. 당시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국에서도 스페인독감으로 13만 9128명이 사망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https://togethergoodeffect.tistory.com/entry/제주도-해충-생태계-교란-우려로-함평-나비-제주에-날다-취소

 

맺음말

고병원성 조류독감 H5 N2에 감염된 첫 사례를 세계보건기구 WHO가 2024년 6월 발표했다. 고병원성 조류독감의 변종 바이러스는 H5 N1, H5 N2, H7 N9, H5 N6 등이고 H5 N1의 치사율은 52%다. 1918년 전 세계적으로 치사율이 높았던 스페인독감의 정체가 조류독감이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